블로그 이미지
민이청멍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7)
일상 (12)
교육 (2)
수학 (6)
수능수학 (4)
영상 (5)
음악 (11)
(10)
경제 (0)
언어 (2)
장소 (0)
(3)
뉴스 (11)
말,글 (1)
Total
Today
Yesterday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387229



내가 이스트 소프트를 싫어하는 이유는, 그들이 배포하는 소프트웨어가 프리웨어인척 사용자들을 오도하기때문이다. 이스트 소프트의 제품들은 명백히 '애드웨어'다. 뭐, 대한민국 사람들이 프리웨어와 애드웨어를 별로 구분해서 사용하지 않기때문에(공짜로 받아서 공짜로 쓴다고 생각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대부분의 애드웨어의 연관검색어로 '광고 삭제'가 있는 것도 그때문이다.) 이 사실은 이스트 소프트에게 별로 영향이 가지 않을테지만 말이다. 하지만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생태계가 이런 식으로 망가진 것이 사실이다.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전략과도 상통하지만, 개인에게는 무료로 배포하여 생태계를 지배한 뒤 기업 등에는 과금을 하는 바로 이 방식 말이다. 이렇게 대한민국 소비자들의 식습관은 망가져갔다. 대한민국에서 소프트웨어를 돈 주고 사는 것은 이미 비상식의 영역이 되버린 것이다.


어쨌든 왜 줌의 점유율이 1%나 됐을까? 네이버에 '줌 인터넷'을 검색해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줌 인터넷'을 제하고 유일하게 나오는 자동 완성 검색어는 바로 '줌 인터넷 삭제'다. 왜 그들은 원하지 않는 줌 인터넷을 얻게 된 것일까? 뻔하다. 알툴즈 등의 업데이트나 알툴즈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할때 체크박스를 마련해두고 '줌 인터넷을 설치하는 것에 동의합니다.'라고 해두었겠지. 그리고 대부분의 사용자는 그런 세세한 부분에 별 관심을 두지 않는다. 이상하게 컴퓨터가 느려졌다 싶을때 혹은 홈페이지가 바뀌었을때 혹은 이상하게 툴바가 생겼을때가 되서야 네이버에 검색 해보고 뒤늦게 삭제하는 것이 대부분 사람들의 습관이다.


네이버가 횡포를 부리고, 검색에 있어서 네이버 자료를 굉장히 배타적으로 다루는 점때문에 난 그들의 검색 기능을 별로 신뢰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네이버는 좋다. 사람들이 구글 검색이 좋다좋다 노래를 부르지만 네이버는 분명 굉장히 잘 만든 사이트라고 생각한다. 심플하면서도 이쁘다. 간단하고 단순하다. 그것으로 대한민국 사람들의 입맛을 맞추기는 충분하다. 더불어 구글이 가져오는 수 많은 숨겨진 자료도 그들의 필요와는 전혀 상관없다. 그들은 당장 소비가능하고 간단한 자료만을 원할 뿐이기 때문이다.



결국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생태계는 굉장히 기이한 모습으로 나아갈 것이다. 컴퓨터를 잘 다루는 '컴맹'이 대부분인 사회. 그런 '컴맹'을 속여 돈을 벌어보기위해 애쓰는 기업. 뜻을 품고 있지만 실현하지 못하는 개발자. '정상적'인 상황이 무엇이라고 정의할 성질의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이런 모습을 '비정상'이라고 말하는 것은 옳지 않겠지만, 그래도 뭔가 이상하다. 

Posted by 민이청멍
,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4&aid=0000042150



사먹는 김치의 사례와 펩시의 사례는 자못 흥미롭다. 전반적으로 글의 흐름도 훌륭하다. 누구나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사용자와 구매자가 다른 사례(개 사료나 유아용 옷)에서 시작해서 놓치기 쉬운 부분까지 흘러가는 전개가 참 좋다.


구매자와 사용자가 다른 경우가 있을 수 있고, 그러므로 구매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해야한다는 생각은 누구나 하기 쉽다. 그러나 그것이 쉬운 생각이다보니 더 깊은 생각, 나아간 생각을 막게 되기도 한다. 다시 말해 너무 당연하다고 여겨 숙고를 멈추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쉽다고, 이미 알고 있다고 방심하지 말것이다.

Posted by 민이청멍
,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387288


채무 탕감 프로그램의 목적은 채무로 인해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하지 못하는 사람을 도와 그들의 생활을 정상 궤도에 올려놓는 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단순히 빚을 없애주는 것은 단기적인 효과밖에 거두지 못할 확률이 있으며(곧, 그들의 식습관을 오히려 나쁘게 만들 수도 있다.) 사회 분위기의 건정성을 해치는 결과도 낳을 수 있다.

Posted by 민이청멍
,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4&aid=0000042159



한국 이공계생들이 왜 벤처에 투신하지 않는지 전혀 모르고 쓴 글 같다. 당신이 만약 유능한 이공계생이라면 대한민국에서 벤처를 하겠는가? 세계 경쟁력을 운운하다니 세상에..


물론 훌륭한 벤처인재들도 많지만, 사회적 분위기는 아직 벤처를 이야기하기엔 시기상조인 것 같다. 아직 대한민국은 패자부활을 이야기할 만큼 (사회적) 여유가 있지 않다. 이만큼 대한민국을 키운 것이 팔할은 경쟁의식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러한 생각은 더욱 강화된다.


한편으로는 현재 대한민국의 글로벌 경쟁력이라는 것이 오직 일부 대기업의 분투때문이라는 것도 영향을 미친다. 대한민국의 사회적 피로도는 이미 극이고, 더불어 계속해서 쌓여가고 있고, 그 경제 구조 또한 불안하기가 이를데가 없다. 그렇기에 사민주의를 이야기하는 사람임에도 아직은 기형적인 대한민국의 구조를 깨는 것이 두렵다.



정의를 세우는 것이 두렵지 않은 때가 오길 바라며..

Posted by 민이청멍
, |

일정한 정해진 형식이 없다면 자의적(arbitrary)하게 흘러갈 확률이 높고, 그렇다고 형식이 촘촘히 짜여져 있다면 내용은 없이 공허하게 흘러갈 경우를 만날 순간이 오게 된다. 그래서 난 법에 흥미를 느끼고 조금 뜻을 두고 있기도 하지만서도 법치주의가 완전한 정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굉장이 어려운 문제지만, 그렇기에 시스템이 중요한 것이 아닌가 싶다. 어떤 인간도 어떤 형식도 완벽할 수 없다. 그 불완전을 보완하기 위한 시스템도 완벽할 수 없을테고.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368674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52911192704145&nvr=Y

Posted by 민이청멍
, |

'금리 인하를 해도 난리 안해도 난리'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읽어봤으면 하는 글. 한은의 역할은 시장이나 정치권의 요구에 무작정 장단 맞춰 주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예상이 시장과 부합할 경우 시장을 더욱 북돋아 시장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나 부합하지 않을 경우에 시장을 이끌어 올바른 길로 이끌어 나가는 것이다.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소통이다. 그리고 그렇기에 소통과 효율성에서 적절하게 줄타기를 할 수 있는 사람이 능력있는 리더가 되는 것이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408293


Posted by 민이청멍
, |

"SF 영화의 출발점이 철학적이라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미래에 관한 생각 자체가 시간에 대한 성찰과 현재에 대한 반성 없이는 불가능하다."



 

SF 영화를 보는 관객들의 관점이 달라졌다. 이제는 내용 못잖게 비주얼이나 디지털 기술이 펼치는 상상력을 즐긴다. 상상의 세계를 실감 나게 보여주는 그래픽 이미지가 관객들의 새로운 체험 욕구를 얼마나 충족시켜주느냐에 따라 영화 평이 달라지기도 한다.
SF 영화의 출발점이 철학적이라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미래에 관한 생각 자체가 시간에 대한 성찰과 현재에 대한 반성 없이는 불가능하다. SF 영화가 겉 구조는 액션 블록버스터를 표방하고 있지만 그 안에 깊은 철학이 내재해 있는 이유다. 
최근 개봉한 SF 영화 ‘오블리비언’은 할리우드의 아이콘 톰 크루즈가 출연한다는 것과 첨단 기술로 이뤄진 디테일에 대한 기대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오블리비언은 ‘망각’이라는 의미. 제목에서부터 잠재의식 속 기억과 현실세계의 대립이 핵심 코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영화는 내용의 철학성과 디지털 기술 모두에서 어느 정도는 기대에 부응한다. 하지만 기존 SF 영화와 겹쳐지는 장면이 많다는 점에서 범작(凡作)에 그칠 수밖에 없다. 
영화는 외계인 침공으로 인한 지구 최후의 날 이후, 모두가 떠나버린 지구의 마지막 정찰병인 잭 하퍼(톰 크루즈 분)의 이야기에 집중된다. 그가 지하조직에 끌려가 만나게 되는 리더 말콤(모건 프리먼 분)과의 대면 장면은 ‘매트릭스’에서 토머스와 모피어스가 만나는 장면과 거의 흡사하다. 매트릭스에서 토머스가 모피어스를 만나 자신의 현실 인식은 주입된 것에 불과하며 실체는 인공지능의 배터리로 사용되고 있을 뿐이라는 진실을 알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말콤과의 대면을 통해 잭도 진실을 알게 된다. 
영화가 진행되는 과정을 통해 서서히 잭의 정체성이 밝혀지기 때문에 관객들은 지나간 장면의 의미들을 재구성하면서 봐야 한다. 과거의 기억이 꿈이나 플래시백을 통해 단편적으로 제시되기 때문에 영화가 끝난 다음에야 완전한 재구성이 가능하다는 점은 영화에 대한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다.
그러나 이 영화는 디스토피아(암흑세계)에서도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은 숲 속 자연의 생명이 숨 쉬는 공간이며, 자주 접하는 현재의 사랑보다는 과거 사랑의 기억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는 데서 의미가 있다. 잭은 과거 지구의 자연환경과 똑같이 재현해 놓은 호숫가 작은 집에서 짬짬이 올드팝을 들으면서 쉬며 위안을 받는다. 잭이 타고 다니는 최첨단 특수비행선 버블십의 조종석 앞에는 잭의 수호신 같은 엘비스 프레슬리 인형이 놓여 있다. 또한 상부가 지시한 업무를 함께 수행하는 동료 빅토리아(안드레아 라이즈보로 분)와 정체 불명의 우주선에서 나타난 기억 속의 아내 줄리아(올가 쿠릴렌코 분) 사이에서 잭은 단호하게 줄리아를 선택한다. 
이를 통해 영화는 첨단 기술의 극단을 배경으로 하면서도 ‘인간은 기억을 먹고 사는 존재’라는 점을 놓치지 않는다. 즉 인류는 점점 발전해가는 기술력에 의지해 생활하고 있지만, 정작 우리를 힐링해 주는 것은 아날로그 문화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 
오블리비언은 내용적 측면에서는 기존 SF 영화를 넘어서지는 못한다. 그러나 태곳적 대자연과 디테일한 첨단 디지털 영상의 극적 대비를 통해 대자연의 숭고함에 방점을 찍고 있다는 점에서는 높이 살 만하다.
 [황영미 숙명여대 교양교육원 교수]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1704호(13.04.24~04.30 일자)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osted by 민이청멍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